본문 바로가기
소금/생활정보 및

신윤복 과 김홍도의 그림과 생애

by 나비현상 2008. 10. 2.
SMALL

 

조선시대 천재화가의 이름을 꼽자면 당연 김홍도와 신윤복의 이름을 들수 있다. 당대 최고의 화가인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의 작품들을 안방에서 만나볼수 있다.

SBS수목드라마 바람의 화원에서 박신양과 문근영의 연기에 찬사가 이어지고 있다. 바람의 화원의 이정명작가는 "한국예술인들의 이야기를 풀어내보고 싶었으며 한국에서도 고흐나 인상파화가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 우리선조들 중에서도 예술의 혼을 불사른분들을 찾는 중 조선후기 시대를 풍미한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 화가를 찾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박신양씨와 문근영씨가 연기하는 걸 보고는 김홍도와 신윤복이 살아돌아온 게 아닌가 하고 착각할 정도였다"며 "특히, 소설을 쓸 때는 머릿속에 생각하면서도 활자가 가진 한계 때문에 김홍도와 신윤복의 미묘한 감정을 잘 드러내지 못해 아쉬웠는데 드라마 속 인물관계나 각 캐릭터에 대한 소개가 탄탄하고도 매력적으로 나와 기뻤다"고 덧붙였다.

역사적으로 볼때 단원 김홍도(1745~?)와 혜원 신윤복(1758~?)은 교류가 없었다. 바람의 화원에서 설정한 만남은 드라마진행상 필요한 픽션으로 볼수 있다. 그리고 문근영의 배역인 혜원 신윤복은 남성으로서 여성의 섬세한 감정과 기법을 가지고 있었는데 성별을 떠나 혜원 신윤복의 기품을 여성의 코드로 맞춘 픽션이다.

실제그림의 기법을 살펴보자면 두명의  명화가사이에는 주제와 기법, 그들의 가치관을 알수 있다. 단원 김홍도는 일반 서빈들의 생업에 관계된 일상생활을 소재로 많이 다룬 반면 혜원 신윤복은 한량과 기녀들의 풍류를 비롯한 남녀간의 로맨스룰 주로 소재로 사용했다.

또한 기법에서도 차이가 나는데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는 배경이 생략되는 대신 전체적인 화면구도기법인 반면 혜원 신윤복은 배경의 세심한 묘사가 두드러지는 차이점이 있다.

단원 김홍도는 먹선의 굵은 필치와 은은하고 투명한 농담기법으로 질박하고 강한 생명력을 표현한 서민일상의 모습을 , 혜원 신윤복은 가늘고 섬세한 필치롸 화려한 색채의 효과로 양반이나 남녀의 모습을 그린 차이점이있다.

출처 : 바람의 화원 , 김홍도와 신윤복이 돌아왔다!!
연예<Hot>뉴스 2008/09/30 12:07

 

신윤복 (조선 화가)  [申潤福]

1758(영조 34)~?
조선 후기의 화가.

신윤복의 풍속화 /신윤복이 종이 바탕에 채색으로 ...
김홍도와 함께 풍속화의 쌍벽을 이루었다. 본관은 고령. 자는 입부(笠夫), 호는 혜원(蕙園). 아버지는 화원(畵員)이었던 한평(漢枰)이다.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며, 단지 도화서(圖畵署) 화원으로 벼슬이 첨절제사(僉節制使)까지 이르렀다는 사실만 알려졌을 뿐이다. 그의 풍속화는 소재의 선택, 구성, 인물의 표현방법 등에서 김홍도의 풍속화와는 현저히 다른 경향을 보여준다. 김홍도가 소탈하고 익살맞은 서민생활의 단면을 주로 다룬 데 반해, 그는 한량(閑良)과 기녀(妓女)를 중심으로 한 남녀간의 춘의(春意)를 주로 그렸다. 김홍도와의 차이는 인물 묘사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나는데, 대체로 얼굴이 갸름하고 눈꼬리가 치켜올라간 형태로 인물을 그리면서 섬세하고 유연한 선과 아름다운 채색을 적절히 사용했다. 그러나 산수(山水)를 배경으로 풍속화를 전개시키는 경우에는 산수에 보이는 석법(石法)이나 준법(皴法)·수파묘(水波描) 등에서 간혹 김홍도의 영향이 보이기도 한다. 신윤복의 작품에는 남녀간의 애정을 그린 것 이외에도 무속(巫俗)이나 주막의 정경 등 서민사회의 풍모를 보여주는 순수한 풍속화도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으며, 산수화는 담묵(淡墨)과 담채(淡彩)를 주로 사용해 참신한 감각의 분위기를 표현하는 등 조선 말기 이색화풍의 대두에 선구적 역할을 했던 윤제홍(尹濟弘)의 화풍과 유사하다. 신윤복은 대부분의 작품에 짤막한 찬문(贊文)을 쓰고 자신의 관지(款識)와 도인(圖印)을 덧붙이고 있는데, 유교적 도덕관념이 강했던 시기에 속된 그림을 자기의 작품이라고 떳떳이 밝히는 행위가 가능했던 것은 당시 그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그의 화풍은 후대의 화단에 많은 영향을 미쳐 작가 미상의 풍속화나 민화 등에서 그의 화풍을 따른 작품들이 많이 눈에 띈다. 대표작으로는 〈연당야유도 蓮塘野遊圖〉·〈미인도 美人圖〉·〈단오도 端午圖〉·〈무무도 巫舞圖〉·〈산궁수진 山窮水盡〉·〈선유도 船遊圖〉·〈산수도 山水圖〉 등이 있다.

-다음 백과사전

 

 

신윤복의 그림

 

미인도

 

전모를 쓴 여인

 

단오풍경

 

월야미회

 

봄소풍

 

뱃놀이

 

주막풍경

 

가야금타기

 

칼춤풍경

 

기다림

 

연당의 여인

 

그림출처 : 중동학원

 

 

 

 

 

 

 

 


[지구촌사회 및] - 환경 대파괴의 비극적인 도시
[지구촌사회 및] - 화이트 샌드 국립공원 White Sands National Monument-백색모래의...
[연예스포츠방송 및] - 타짜 평경장 딸 이소정
[지구촌사회 및] - 참으로거룩하신 삶...
[생활리듬 및] - 인터넷 전화로 통신비 줄이세요
[연예스포츠방송 및] - 벤허 (Ben-Hur, 1959)
[지구촌사회 및] - 도시 한복판이 내려앉는 거대한 구멍들
[여행자연풍경 및] - 바다속 풍경
[여행자연풍경 및] - 코스모스 피어 있는 길 (동영상)
[생활리듬 및] - 내 인생에 가을이 오면
[지구촌사회 및] - 국보.보물등 국립박물관 명품 100선
[문화예술 및] - 눈으로만 따지지 말고 마음으로 그림 읽어야 ...

 

 

 

김홍도 

[##__##] 

1745년 한양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외가 안동 장씨 집안은 대대로 도화서 화원(나라에서 필요한 그림을 그리는 직업화가)을 배출한 미술가 집안이었기 때문에 김홍도는 외할아버지와 외삼촌에게 그림을 배웠다. 결혼한 뒤에는 복헌 김응환의 소개로 표암 강세황과 교제하였다. 표암은 인물, 화조(꽃과 새), 사군자 모두 능숙한 김홍도를 추천하여 도화서 화원이 되게 했는데, 덕분에 김홍도는 이인문 등의 여러 화가들과 사귀면서 그림공부에 몰두할 수 있었다.

1771년(영조 47년)에 왕세손 이산의 초상화를 그렸다. 1776년에 세손이 영조를 이어 정조로 보위에 오르자, 정조에게 규장각도를 바쳤고, 1781년(정조 5년)에 정조의 초상화를 그렸다. 정조는 김홍도와 그의 스승 김응환에게 1788년 금강산의 산수화를, 1789년에는 몰래 일본 지도를 그릴 것을 명하였다. 1789년 김응환이 부산에서 병으로 죽자 김홍도는 대마도로 가서 일본의 지도를 모사해서 가지고 돌아왔는데, 그림을 그린 방법이 비슷하다고 하여 일본에서 첩보활동을 하면서 화가로 활동했다는 설이 있다.

1790년에는 정조가 할아버지 영조와의 정치적인 대립으로 죽은 사도세자를 위해서 지은 사찰인 용주사 대웅전에 운연법으로 입체감을 살린 삼세여래후불탱화를 그렸다. 1795년에는 연풍현감으로 임명되어 근무하다 사임했는데, 충청도 연풍에서 현감으로 일한 경험은 김홍도가 민중들의 삶을 자신만의 개성-당시 조선 미술계는 중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었다.-으로 그려내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1796년에는 용주사 부모은중경의 삽화, 1797년에는 정부에서 찍은 오륜행실도의 삽화를 그렸다. 이러한 활발한 작품활동을 할수 있었던 것은 소금장사로 부를 축적한 김현태(김경림)에게 그림을 그려주는 대신, 경제지원을 받았기 때문이다. 18세기 상업의 발달로 부유해진 중인계급들은 그들의 경제계에서의 위치성장에 걸맞는 예술적인 취향을 김홍도처럼 유능한 화가들과 교류함으로써 충족시키려고 하였다. 만년에는 김한태의 별세로 생활이 어려워졌지만, 무동(舞童,춤추는 아이), 서당, 나룻배, 씨름, 씨름등을 수록한 풍속화첩을 발표하여 민중들의 삶을 다룬 작품활동을 하였다.

1805년 질병으로 위독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언제 별세했는지는 알 수 없다. 그의 아들 김양기도 아버지를 이어 화원이 되었다.

 

김홍도의 그림

 

 서당도

 

대장간도

 

타작도

 

무동도

 

활쏘기

 

씨름도

 

점심먹기

 

길쌈도

김홍도의 길쌈도

 

자리짜는 양반

 

편자박기

 

기와이기

 

그림출처 : 중동학원

 

논갈이

그림:Danwon-Nongali.jpg

어장

그림:Danwon-Gogi.japi.jpg

 

빨래터

그림:Danwon-Bbalrae.teo.jpg

 

-그림출처 :위키백과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