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금/다큐멘터리 및

여황제 측천무후 사망 (705)외 12월16일 속의 역사

by 나비현상 2008. 12. 16.
SMALL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계 최초 비브리오균 유전자 완전해독(2002)

2002년 오늘! 세계 최초로 비브리오균 유전자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최현일 교수팀에 의해 완전 해독됐다.

비브리오 패혈증 예방 백신과 항균제를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비브리오균 유전자 정보지도'!

최현일 교수팀은 연구시작 1년만에 비브리오균 유전체 염기서열과 유전정보를 완전히 해독했고 이같은 성과는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바이오텍 정보센터(NCBI)'의 세균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에 올려졌다.

최 교수는 "이 유전자 지도를 이용하면 10년 안에 항균제나 백신 등 치료제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1999년 LG화학 퀴놀렌계 항생제 `팩티브(factive)` 신약 발표회 
 
 1998년 이소정양, 미국 브로드웨이 뮤지컬 `미스 사이공`에 첫 한국인 주역    
 
 1997년 환율변동제한폭 철폐 
 
 1997년 위안부 참상 첫 증언한 김학순 할머니 별세 
 
 1996년 서울고법 형사1부, 12.12 및 5.18사건 항소심에서 전두환 전대통령에게 무기징역, 노태우 전대통령에게 징역 17년을 각각 선고 
 
 1995년 축구 응원단 `붉은 악마(Red Devils)` 탄생    
 
 1994년 국회, WTO가입 비준동의안 통과    
 
 1993년 록히드사건의 중심인물인 다나카 가쿠에이 사망 
 
 1990년 해방신학자 아리스티드, 아이티 대통령에 당선    
 
 1988년 강영훈 제21대 국무총리 취임 
 
 제13대 대통령 선거 실시(1987)

제13대 대통령 선거가 1987년 오늘 치러졌다.

1972년 유신 선포로 간선제가 실시돼 오다 16년 만에 처음 (1971년 4월 직선제 선거 실시) 직선제로 대통령을 뽑는 선거다.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민정당의 노태우 후보, 민주당의 김영삼 후보, 평민당 김대중 후보, 신공화당 김종필 후보의 4파전으로 압축됐다.

6·10항쟁으로 불리는 개헌투쟁으로 직선제를 쟁취한 국민들은 이날 선거에서 89.25%의 투표율을 보였다.

개표 결과 민정당의 노태우 후보가 유효투표의 39.6%인 8백28만여 표를 얻어(8백28만2천7백38표) 제13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노태우 후보는 1979년 12·12사건에 적극 가담해 집권의 기반을 잡은 지 8년 만에 마침내 대통령이 됐다.

그러나 노태우 대통령은 집권 기간의 뇌물수수 혐의로 퇴임 뒤인 1995년 11월 16일 전직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구속수감 됐다.

 
 1984년 여수 돌산 연육교 개통 
 
 1984년 프랑스, 북한통상대표부의 일반대표부 격상 시인 
 
 1982년 정부, 복역중인 김대중의 서울대학병원 이송과 도미 허용 발표    
 
 1981년 폴란드 교회, 계엄당국의 군사탄압 반대 선언 
 
 1980년 유엔,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독립창설 촉구하는 결의안 채택 
 
 1978년 카터 미국 대통령, 중국과 수교하고 대만과 단교한다고 발표 
 
 1977년 국회, 12해리 영해법안 통과 
 
 1975년 부주석 강생(康生) 사망 
 
 1975년 중국, 제5호 인공위성 발사 
 
 1969년 영국 하원, 사형폐지법안 통과 
 
 1965년 영국의 소설가 윌리엄 서머셋 몸 사망 
 
 1965년 국내 최초로 텔렉스 개통(400회선) 

 

에드워드 케네디 의원 퇴원(1964)

에드워드 케네디 미국 상원의원이 척추질환 치료를 받고 1964년 오늘, 병원에서 퇴원했다.

병원 주변에는 케네디 의원을 지지하는 후원자들이 몰려들어 그의 퇴원을 환영했다.

에드워드 케네디는 형인 존 F 케네디의 뒤를 이어 메사추세츠주 상원의원에 1년 전인 1963년 당선됐다.

케네디 집안 형제 네 명 가운데 유일한 생존자다.

 
 1963년 최고회의 해체 
 
 1960년 미국 민간여객기 뉴욕 상공서 충돌. 134명 사망 
 
 1959년 한국여성단체협의회 발족 
 
 1958년 콜롬비아의 보고타시 대화재 93명 사망 
 
 1957년 김병로 초대 대법원장 정년 퇴임 

 

[1950년] ‘국민방위군 설치법’ 발효 
‘국민방위군 설치법’에 의해 국민방위군 지게부대에 지원한 사람들이 3,4일씩 굶어가며 걸어서 대구훈련소에 도착해 줄지어 서 있는 모습 

중공군이 참전하고 전황이 악화되어가자 1950년 12월 16일 ‘국민방위군 설치법’이 국회에서 통과돼, 이날 공포ㆍ발효됐다. 만17세에서 40세 미만의 장정 50여만명이 제2국민병으로 소집됐다. 전국 각지의 51개 교육연대에 분산ㆍ수용됐으나 민간조직인 대한청년단 간부들이 지도부를 맡는 바람에 조직관리가 허술했다.
이들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것은 1·4후퇴 때였다. 군복은 커녕 변변한 옷하나 없이 굶주린 채 도보로 후퇴하다보니 아사자·동사자가 속출했고 더구나 그 시체들이 길거리에 방치되는 바람에 민심도 흉흉해졌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국회가 진상조사에 나섰다. 조사가 진행될수록 고구마 줄기처럼 감춰진 비리들이 드러났다. 군수뇌부가 쌀, 피복 등 군수품을 횡령하는 바람에 2만여명(생존 방위군 주장)이 전선에서 추위와 굶주림으로 죽어간 것으로 파악되자 이시영 부통령이 개탄속에 사임하고 사건을 축소은폐한 신성모 국방장관이 경질됐다. 김윤근 방위사령관을 포함한 5명의 간부는 24억환어치의 금품을 착복하고 5만2000섬의 양곡을 부정 처분한 혐의로 총살형에 처해졌다. 국민방위군은 이듬해 5월 12일 해체됐지만, 이 사건은 우리 군 부패의 최대 치부로 기록됐다. 

 

 


 


 
 1950년 트루먼, 국가비상사태 선언    
 
 1949년 페루, 한국정부 승인 
 
 1947년 북한, 화폐개혁 실시 
 
 1946년 맥아더원수, 극동군사령관에 임명 
 
 1945년 미군정장관 러치 소장 임명 
 

모스크바 3상 회의 개최(1945)

1945년 오늘 모스크바에서 미국, 영국, 소련의 외무장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제2차 세계대전의 전후 처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다.

모스크바 3상 회의로 불리는 이 회의에서 우리 나라의 임시정부 수립과 신탁통치 등의 내용을 담은 모스크바 협정이 체결됐다.

우리 나라를 5년 동안 신탁통치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국내 정당들과 사회단체들은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좌익 세력은 이듬해인 1946년 1월부터 갑자기 신탁통치 찬성 입장으로 돌아섰다.

좌익 세력은 모스크바 협정을 우리나라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국제적 합의로 받아들였다.

이후 우리나라는 신탁통치를 둘러싼 좌우익의 충돌로 극심한 국론분열을 겪게 됏다.

이듬해인 1946년 3월 20일 모스크바 협정에 따라 우리나라의 임시정부 수립방안을 협의하기 위한 미소공동위원회가 열렸다.

하지만 미소공동위원회는 우리나라 좌우익의 대립과 미국과 소련의 대립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난항이 거듭됐다.

결국 1947년 7월 미소공동위원회는 임시정부의 수립이라는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정 사항을 실현하지 못한 채 결렬됐다.

나치 독일, 아르덴 대반격(1944)

1944년 오늘 벨기에 남부 아르덴!

나치 독일군이 연합군을 기습공격 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군의 마지막 반격으로 기록된 아르덴 전투다!

'벌지 전투 battle of the Bulge'로도 불리는 이 전투에서 독일군은 기상악화로 공습지원을 받지 못한 연합군의 진영 깊숙이 진격해 들어갔다.

그러나 독일군의 승리는 오래 가지 못했다.

한달 여 뒤인 1945년 1월 중순부터 독일군은 연합군의 공세에 밀려 철수했다.

 
 1941년 세계최대 일본 전함 `대화(大和)` 진수 
 
 1920년 국제연맹총회, 상설 국제사법재판소규약 채택 
 
 1920년 중국 칸수 대지진으로 18만명 사망 
 
 1912년 발칸전쟁에 관한 1차 런던강화회의 개막(~1913.5.3) 
 
 1902년 독립운동가 유관순 출생    
 
 1901년 미국의 인류학자 마가렛 미드 출생 
 
 1888년 유고슬라비아의 왕 알렉산다르 1세 출생 
 
 1882년 헝가리 민속음악의 권위자인 대표적작곡가 졸탄 코다이 출생 
 
 1869년 미학.사변철학.문학비평 분야에 중요한 공헌을 한 미국의 철학자 조지 산타야나 출생 
 
 1866년 프랑스 화가 위슬리 칸딘스키 출생 
 
 1863년 미국의 고딕 복고양식의 건축가 랄프 아담 크램 출생 
 
 1859년 독일의 형제작가 빌헬름 그림 사망 
 
 1857년 천체사진술의 선구자인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 출생 
 
 1850년 알렉신이라는 살균제를 발견한 독일의 세균학자 한스 부흐너 출생 
 
 1790년 벨기에 첫번째 왕 레오폴 1세 출생 
 
 1773년 보스턴 차(茶)사건 발발    
 
 1717년 영국 시인 엘리자베스 카터 출생 
 
 1631년 이탈리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4천명 사망 
 
 1568년 이황, `성학십도`를 지음 
 
 1515년 포르투갈령 인도 총독 아폰수 데 알부케르케 사망 
 
 1485년 잉글랜드 왕 헨리 8세의 첫번째 왕비 아라곤 캐서린 출생 
 
  [705년] 중국 유일의 여황제 측천무후 사망 
중국 유일의 여제(女帝)로서, 약 15년(690∼705) 동안 중국을 지배했던 측천무후 

중국 역사상 유일하게 여자 황제에 오른 당나라 고종의 비 측천무후가 705년 12월 16일 사망했다. 80세였다. 본명은 무조로 산동성 문주현 출신이었다. 당나라 고종의 비로 들어와 황후의 자리에까지 올랐으며 40년 이상 중국을 실제적으로 통치했다.
무후는 638년 13세에 당 태종의 후궁으로 궁중에 입궐했다. 이때는 당조가 태종의 노력으로 중국을 막 재통일한 시기였다. 태종은 당나라 2대 왕으로 형과 동생을 살해하고 왕위에 오른 이세민이다. 태종이 병사하자 관습대로 비구니가 되었으나 태종 생존시부터 깊은 관계를 맺어 왔던 고종에 의해 다시 궁궐로 들어와 소의 자리에 올랐고 32세인 655년에는 황후로 책봉됐다.
고종 사후에도 후임 황제를 자주 바꿀 정도로 절대권력을 행사했다. 소정방을 통해 백제를 멸망시킨 것도 측천무후였다. 마침내 690년 혁명을 단행하여 65세 나이로 스스로 황제 자리에 올라 국호를 주(周)로 변경하고 천수라는 연호를 썼다. 적인걸(狄仁傑)·위원충(魏元忠) 등 명신을 등용하기도 하였지만 악랄한 책략과 가혹한 탄압 정치를 하였고, 요승 회의(懷義) 및 장역지(張易之) 형제 등과 추문을 남기는 등 많은 비난을 받았다. 16년간 여제(女帝)로 군림하다 705년 정변으로 중종이 복위되고 당나라가 재흥된 얼마 뒤 병사했다.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