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만남을 통해..... 부산 1급자격사 ㅇㅇㅇ
만남이 중요하다. 좋은 만남을 통해 복이 전해지기 때문이다. 우리 부부에게도 한 필리핀 선교사님을 우연히 만남으로 자연정혈요법을 알게 되는 복이 전해졌다.
선교사님은 필리핀 선교지에서 열정을 다해 복음을 전하시던 중 갑작스럽게 쓰러져 응급실로 후송되었다. 종합검사 후 뇌졸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병원에서의 치료과정이 끝났지만 뇌졸중으로 인한 좌측 마비증상으로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었다. 결국 사역지에서 모든 것을 내려놓고 귀국하려 했다. 그 상황에서 한 지인이 자연정혈요법을 소개 하였고, 사모님께서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직접 배워서 시술하였다. 놀라운 결과가 일어났다.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단계까지 치유 된 것이다. 지금은 자연정혈요법을 사역지에서 선교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 부부에게도 배워보라 권유하시며 자연정혈요법이란 명칭만을 가르쳐 주셨다. 이것이 자연정혈요법과의 첫 만남이다.
이 만남을 신뢰하며 자연정혈요법을 인터넷에서 검색했다. 손쉽게 찾을 수가 있었다. “내 병은 내가 고치고 내 가족은 내가 지킨다”라는 문구가 가슴에 와 닿았다. 사실 우리 부부는 대체의학에 관심이 많았다. 그 결과 수지침, 이침, 경락등 여러 가지 대체요법을 공부하였다. 하지만 늘 부족한 마음이 들었다. 본질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현상만 다루는 기분이 들어서이다. 병의 본질을 알고 싶은 열정을 가지며 좋다 어디 한번 해보자는 신념으로 교재를 신청했다. 이론과 실습 편을 여러 번 반복해서 공부하여 1급 자격사가 되었다. 질병은 피의 흐름이 어혈 즉 핏속에 이물질 쓰레기가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백혈구 기능이 저하되어 면역이 떨어져 병이 발생한다는 기본 원리를 알게 되었다. 동감 가는 부분이며 간단한 원리 같지만 중요한 이치이다.
이론과 실기를 여러 번 반복해서 공부하여 어느 정도 확신이 성립되었을 때 나 자신부터 먼저 시술해 보고 싶었다. 젊은 시절 태권도 사범으로 재직하면서 격파술 수련에 관심이 많았었다. 이 수련 과정에서 머리를 사용하여 많은 격파 연습을 했다. 젊은 시절에는 이 행위로 질병을 유발시킨다는 생각을 가지지 못했다. 나이가 들면서 병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편두통이 발병한 것이다. 시도 때로 없이 콕콕콕 찌르는 증상으로 병원과 유명한 한의원에서 진료를 받았었다. 많은 치료를 받았지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고 원인도 알 수 없었다. 자연정혈요법을 공부하면서 이 편두통은 어혈로 인한 증상이라고 확신을 가졌고 자연정혈요법을 시술하기로 결심했다.
증상별 사혈법을 곧바로 시행할 수 있지만 기본이 중요하다는 교재 내용을 신뢰하며 10일 간격으로 기본혈을 10부항씩 6회를 시술 했다. 첫 시술 후 깊은 수면상태로 들어 갈수 있었다. 아침에 일어나니 몸이 가벼워지고 상쾌해 졌다. 오랜만에 느껴보는 기분이다. 더욱더 확신을 가지고 6회 까지 시술을 마쳤을 때 건강상태가 호전 되었다. 그러나 편두통이 조금 완화 되었지만 증상이 없어지지 않아 이제는 증상별 시술로 들어가기로 결정했다. 오랜 지병인 편두통을 고치기 위해 머리전체를 사혈하기 위해 삭발을 했다. 치유된다는 확신을 가졌기에 가능했다. 정상혈에 1부항을 사혈하니 어혈이 30% 정도 나왔다. 2부항 3부항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어혈의 양은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뒷머리혈, 뒷머리보조혈, 옆머리혈들도 같은 과정으로 시술했다. 이 어혈을 머릿속에 담고 있었으니 통증이 없으면 이상하였다고 고백하며, 10일 주기로 3회 과정이 지난 지금은 더 이상 편두통으로 고생하지 않는다. 이런 경험 즉 치유의 경험을 바탕으로 많은 임상시술을 하고 있다. 그중에 몇 가지를 사례를 소개 하고 싶다.
첫 번째 사례자는 50대 중후반으로 반평생 허리통증으로 고생한 여성이다. 유명하다는 병원에도 다녀보고, 침을 잘 놓는다고 소문난 할머니에게도 한 번에 침을 수 십 개씩 꽂아보기도 했지만 잠시 효과가 있을 뿐 재발되는 것이 되풀이 되었다. 허리로 고생해보지 않은 사람은 이 심정을 잘 모를 것이다. 자연정혈요요법을 권하여 시술했다. 이 사례자는 허리통증이 너무 심하여 기본사혈과 증상별 사혈을 동시에 시술하기로 결정했다. 기본사혈과 요추 3번 혈을 시술했다. 요추 3번 혈에서는 1부항에 어혈도 생혈도 나오지 않았다. 온열치료기로 20분정도 찜질하고 다시 사혈을 시작 했다. 진한 검은색 어혈이 억지로 나오는 모습을 보며 이곳에 어혈이 많다는 것을 짐작하여 집중적으로 사혈 했다. 5-12부항까지 많은 어혈덩어리가 나왔다. 다음날 바로 효과를 보았다. 허리의 움직임이 시술 후 가벼워졌고 시원하다는 것이다. 3개월 동안 10일 주기로 시술을 한 지금은 통증이 거의 사라졌고 매일 저녁 산책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두 번째 사례자는 40대 남성으로 원인도 없이 수시로 쓰러져 대학병원에 입원했었다. 정밀 검사를 받았지만 아무런 이상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증상 때문에 불안감과 초조함에 시달리고 사업 활동에도 많은 지장을 초래 했었다. 자연정혈요법을 소개하며 건강관리를 권유하였다. 오랜 상담 끝에 시술을 결정하고 집에 방문하여 기본사혈을 시작하기로 했다. 1부항부터 60%이상의 어혈이 나왔으며 3부항부터는 90%이상의 어혈덩어리가 나왔다. 이런 어혈은 보지도 못하였다. 악성 중의 악성어혈이다. 색깔은 아주 진한 숯덩어리로 표현할 수밖에 없을 거 같다. 코를 찌르는 역겨운 냄새로 구토증상까지 유발하였고, 악취는 온 집안 구석까지 퍼져 진동했다. 어혈이 너무 많이 나와 12부항까지 시술했다. 다음날 사례자는 죽을 것만 같았는데 이제야 살 것 같다며 기뻐하였다. 온몸이 가벼워졌다며 너무나 좋아 했다. 2회 3회 시술이 거듭될수록 몸에서 쏟아져 나오는 어혈덩어리에 본인 자신이 놀라워하였고 내 몸이 쓰레기통이였다고 고백 했다. 7일 간격으로 12회 까지 시술한 결과 더 이상 원인 없이 쓰러지는 일이 발병하지 않았다. 자연정혈요법이 나를 살렸다고 말하며 자정효과를 신뢰하였고 자신에 가족 전부의 건강관리를 부탁하고 싶어 했다. 시례자 자신이 자연정혈요법의 효과로 인하며 적극적으로 매달리는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세 번째 사례자는 30대 초반 청년으로 군복무 훈련 중 절벽에서 낙상사고로 뇌진탕 및 골절상을 입었다. 군인 신분 때문에 충분한 재활치료가 부족했다. 제대 후 이상 증상이 나타났다. 원인도 없이 온 몸에 관절에 순차적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하루는 손목, 또 다른 날은 무릎, 염증이 날마다 다른 부위에 발생했다. 무릎, 손목, 발가락, 발등, 발생 부위도 정해지지 않았다. 병원과 한의원에서 많은 진료를 받았지만 원인도 알 수 없었다. 유일한 방법이 통증 발생시 진통제를 먹는 것이었다. 상담 결과 어혈로 인한 순환장애를 의심하며 신장 사혈을 중점적으로 시술하기로 했다. 기본혈인 신장혈과 위장혈부터 시작했다. 1부항에서 어혈이 30%정도 2부항 3부항으로 넘어 갈 때마다 어혈에 양은 늘어났다. 6부항까지 시술했다. 다음날 온 몸이 새털처럼 가벼워지고 손끝과 발끝에 찌릿찌릿하게 피가 흐르는 것을 느꼈다고 한다. 1차 사혈후 염증 발병주기가 줄어들었다. 본인 또한 자정효과를 신뢰하였다. 30대 건강한 청년이라 7일 주기로 3개월 동안 기본사혈을 했다. 지금은 피부족 현상을 우려 하여 휴식기를 가지고 있다. 염증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들었고 통증기간도 상당히 짧아졌다.
자정요법과의 우연한 만남으로 많은 것이 바뀌었다. 우리 부부의 건강이 증진 되었고, 또한 많은 아픈이들에게 자정요법을 보급하고 싶은 열정이 일어났다. 주변에 병증으로 고생하는 분이 너무나 많다. 미리 자정요법으로 건강관리만 하였더라도 심각한 병에 걸리지는 않았을 것이라 확신한다. 자정요법은 병을 치유하는 방법도 효과적이지만 예방법으로 최고의 효과를 발휘 할 것이다. 누구나 10분만 배우면 할 수 있는 이 방법이 100년의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되리라 믿는다.
'소금 > 건강 및'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모의 무서움 그 원인과 해결방안 (0) | 2012.10.25 |
---|---|
건선피부염 치료교육 체험수기 (0) | 2012.10.24 |
자연정혈 어혈제거 요법(자정,정혈,사혈,부항,jc요법) 체험동영상 및 6 (1) | 2010.11.15 |
자연정혈 어혈제거 건강혁명 요법(집에서도 내 병은 내가 고친다) (0) | 2010.06.11 |
어느 의사의 고백-의학박사 로버트 S. 멘델존 (0) | 2010.02.25 |
댓글